본문 바로가기
엑셈, 고객 초청 행사 개최… AI, 클라우드 등 제품별 신기술 선보여 엑셈, 고객 초청 행사 개최… AI, 클라우드 등 제품별 신기술 선보여엑셈원, 싸이옵스, 인터맥스에 탑재된 최신 기술 소개 80여 명 고객 참여해 성황리 행사 마쳐 IT 통합 성능 관리 전문 기업 엑셈(대표 조종암, 고평석, 205100)이 고객 초청 세미나 ‘ConnecXion(커넥션)’을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행사는 9월 5일 오후 2시부터 2시간 반 동안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 위치한 엑셈 본사에서 진행되었다. 고평석 엑셈 대표이사를 비롯한 주요 임원들이 직접 연단에 올라 회사의 경영 철학과 주요 제품에 적용된 신기술을 발표했다. 엑셈에 따르면, 총 80여 명의 고객들이 발표와 함께 진행된 제품 데모 시연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행사를 성황리에 마칠 수 있었다.  먼저 고평석 대표가 ‘Welcome.. 2024. 9. 9.
엑셈, L전자와 K금융에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 ‘엑셈원(exemONE)’ 공급 계약 체결 엑셈, L전자와 K금융에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 ‘엑셈원(exemONE)’ 공급 계약 체결멀티 또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내 DB, 애플리케이션, K8s 통합 모니터링 지원 예정4월 출시 후 고객사 9곳 확보한 상황으로 빠른 시장 안착 실현 중 IT 성능 관리 기업 엑셈(대표 조종암, 고평석, 205100)이 L전자 및 K금융과 올인원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 ‘엑셈원(exemONE)’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L전자는 엑셈원의 DBPM(데이터베이스 성능 관리)을 채택했으며, K금융은 엑셈원의 APM(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과 K8s(쿠버네티스) 모니터링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 엑셈 측은 이번 계약으로 엑셈원의 제조업 및 금융권 레퍼런스를 추가하게 됐으며 올해 4월 출시 이후 현재까지 고.. 2024. 7. 31.
APM 관점에서 본 통합 모니터링의 필요성 앞서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의 필요성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링크) 이번 회차에서는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의 필요성을 APM(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 관점으로 다뤄보고자 합니다. On-Premise에서 Cloud로 전환On-Premise에서 클라우드(Public, Private, Hybrid, Multi)로의 전환은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방식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옵니다. 기존 On-Premise 방식에서는 물리서버에 수동적으로 배포 및 관리를 했다면,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되면서는 가상화된 인프라에 Container, Pod 형태로 배포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렇게 변화된 환경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적인 확장과 유연한 관리가 가능해졌고, 이들 환경에서 수행되는 애.. 2024. 3. 27.
엑셈이 만든 풀스택 모니터링 SaaS 솔루션, ‘데이터세이커’ 출시 엑셈에서 매(Saker) 한 마리를 띄웠습니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고객이 원하는 결과를 사냥해줄 신제품 ‘데이터세이커(DataSaker)’가 6월 26일 공식 출시되었습니다. AWS와 함께 홍보를 진행한 데이터세이커는 매체에 정식 기사화되고, 동시에 홈페이지에 오픈하면서 그 무게감과 기대감을 가지고 출발합니다. 뭘 좋아할지 몰라서 다 준비했습니다 온프레미스에서 맥스게이지와 인터맥스를 대 히트시킨 엑셈의 이번 행보는 SaaS 모니터링입니다! 클라우드 시대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를 아우르는 전체 관점의 모니터링이 필수이듯, 데이터세이커는 인프라와 DB, 애플리케이션은 물론 쿠버네티스, 도커, 컨테이너 로그까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풀스택 모니터링 및 통합 가시성을 제공하는 SaaS 플랫폼입니다. 하나의.. 2023. 6. 29.
엑셈 인사이트 | 전구간 모니터링과 크로스셀링의 근간, 인터맥스 ‘인터맥스(InterMax)’, 크로스 셀링과 윈백으로 고객 확장 중 비즈니스 용어 중 '크로스 셀링(Cross Selling)'이란 표현이 있다. 말 그대로 교차 판매를 의미하며, 기존 고객에게 신규 제품을 판매하는 방식이다. 경쟁사 솔루션을 쓰던 고객에게 자사 솔루션으로 교체하도록 하는 ‘윈백(Win back)’ 판매 방식처럼, 적극적인 고객 확장을 위한 전략 중 하나이다. 엑셈의 E2E(End-to-End) 기반 거래추적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솔루션 ‘인터맥스(InterMax)’는 올해 거듭하여 윈백에 성공하는 동시에, 크로스 셀링으로 신규 고객사를 확보 중이다. 기존에도 E2E 전 구간 관리 솔루션으로 차별화된 기술을 제공하며 시장에서의 위상을 견고히 했던 인터맥스에게는, 올해 시장의 주목을 더.. 2021. 11. 24.
엑셈 인사이트 | 2021년 APM의 현주소와 InterMax 2021년 APM 현주소를 보다 APM(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은 기업의 비즈니스가 디지털로 이동하고 컴퓨팅 환경이 복잡해지면서 주목을 받아 왔다. APM은 등장한 지 20여 년이 지난 오래된 개념이지만 여전히 웹 애플리케이션 성능 모니터링과 관리, 사용자 모니터링 수단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최근 APM은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지향하는 엔터프라이즈 컴퓨팅 환경의 변화 속에서 가치와 역할이 변화되고 있다. 컴퓨팅과 기술 트렌드가 빠르게 바뀌는 현재 전 세계 APM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Full Stack 모니터링에 더해 분석이 연계된 통합 플랫폼 국내에서는 APM을 WAS APM과 EUM(End-User Monitoring) APM으로 단순히 구분한다. 이러.. 2021. 6. 23.
엑셈 뉴스룸 | POWER UP! 엑셈 CloudMOA, GS인증 1등급 획득! 만질 수 없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은 어떻게 측정할까요? 바로 GS인증입니다. 엑셈의 클라우드 통합 관제 솔루션 'CloudMOA(클라우드모아)'가 지난 10월 19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GS(굿 소프트웨어)인증 1등급을 획득했습니다. GS(Good Software)인증이란? 국내 SW 완성도를 평가해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력+사용성+신뢰성 등을 갖춘 제품에 부여되는 인증 GS인증은 1등급과 2등급으로 나뉘는데요. 1등급은 2등급보다 높은 등급이며, 소프트웨어 제품 품질 시험 방법도 더욱 복잡합니다. 1등급은 기능 적합성, 성능 효율성, 호환성, 사용성, 보안성, 신뢰성, 유지보수, 이식성, 일반적 요구사항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우수한 기술력과 제품력을.. 2020. 11. 11.
엑셈 인사이트 | APM의 글로벌 스탠다드 충족하는 InterMax의 저력 지난 4월, 세계적인 IT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가트너(Gartner)에서 ‘Critical Capabilities for 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APM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 역량)’이라는 제목의 흥미로운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벤더 자체의 전반적인 장단점보다는 주요 기능 차원에 관한 APM 소프트웨어 제품의 경쟁력을 중점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시장을 정의하고 이러한 APM 소프트웨어 제품을 제공하는 벤더의 지리적 포커스, 비전, 마케팅 및 기업의 실행 가능성 등 광범위한 요인을 강조하는 ‘애플리케이션 성능 모니터링을 위한 매직 쿼드런트’를 보완하는 자료다. APM의 3가지 핵심 기능 요건과 6가지 필수적 역량, 그리고 인터맥스(InterMax) 이번 보고서.. 2020. 8. 10.
엑기스 | InterMax의 변화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엑셈의 InterMax가 한단계 더 진화했습니다.고객이 조금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내용을 소개합니다. 1. APM의 효율적인 Application 병목 분석을 위한 콜트리 표현 개선안 APM 에서 Application 병목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콜트리(Class & Method)를 수집합니다. 콜트리를 수집하는 방법은 통계 기반 콜트리와 시계열 기반 콜트리의 2가지 유형으로 분류 가능하고, 유형별 장단점이 있습니다. (아래 [콜트리 유형 및 장단점 비교] 참고) 통계 기반 콜트리 표현의 장점이 많긴 하지만, 시계열 기준으로 분석을 꼭 해야만 장애분석이 가능한 경우가 분명 존재 하기 때문에 (특히 금융 거래 패턴 업무) 두 가지 유형을 모두 APM 에서 제공하는 것이.. 2020.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