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간기술동향 | IT 기술로 실현하는 ESG 경영 ESG는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말로, 투자 결정이나 기업 운영에서 사회적 책임이나 지속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는 방식입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업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죠. * ESG 경영을 통한 지구를 지키는 움직임이 궁금하다면, 클릭! 월간기술동향 | 지구를 지키는 움직임 2021년 1월, 정부는 자산규모 2조 원 이상 코스피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2025년부터 ESG 공시를 의무화하고, 2030년에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들로 확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처럼 EGS 전략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것은 이제 필수 요소가 되었는데요. ESG 경영을 가장 효과적으로 실현하고 관리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IT 기술로 실현하는 ES.. 2021. 5. 26.
엑셈 뉴스룸 | CloudMOA SaaS 버전 런칭! 대세 중의 대세, SaaS 시장조사기관 시너지 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엔터프라이즈 SaaS 시장은 지난 10년 동안 연평균 39%씩 성장하고 있으며, 기업용 소프트웨어 지출의 23%를 SaaS가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가트너에 따르면, 클라우드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SaaS 분야의 매출은 2019년 948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1437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SaaS 최종 사용자 지출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2년에는 약 1조5745억 원에 이를 것으로 가트너는 예상했습니다. 사실 그동안 한국은 SaaS 도입이 활발하지 않았지만, 최근 코로나19 사태와 더불어 SaaS 시장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그 어느 때보다 Saa.. 2021. 4. 28.
엑셈 인사이트 | '클라우드모아', 쿠버네티스의 동반자 1조 852억 원. 지난 2월 5일 전자신문사와 한국클라우드사업협동조합이 공동 개최한 ‘제1회 디지털 혁신 포럼’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밝힌 2021년 전 부처의 클라우드 사업 예산이다. 지난해 8284억 원 대비 31%가 증가한 수치이다. 올해 공공 클라우드 확산 의지가 매우 강하다는 것을 단번에 알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올 초 발표한 ‘2020 국내 클라우드 산업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2조 9700억 원이었던 국내 클라우드 매출 규모가 2019년 3조 3700억 원을 돌파했으며 민간 기업들의 클라우드 도입 확대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과 민간을 가리지 않고 지속해서 빠른 추세로 확산되고 있는 클라우드, 과연 올해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어.. 2021. 2. 24.
엑셈 뉴스룸 | 엑셈, CNCF 실버 멤버십 가입 2021년 새해를 시작하며 엑셈이 CNCF의 실버 회원사로 합류했습니다. 어떤 소식인지 함께 보실까요? CNCF란?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는 컨테이너 기술의 선진화와 표준화를 주도하는 리눅스 재단 소속의 비영리단체입니다. 2015년 설립되어 클라우드 업계에서 주목받는 쿠버네티스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죠. CNCF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에코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결성됐으며, 아키텍처 영역별로 전체 구성요소를 정리한 랜드스케이프를 제공합니다. 아마존웹서비스(AWS), 인텔, 애플, 시스코 등 글로벌 CSP와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기업들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약550개 이상의 회원사가 활동 중입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클라우드 상에서 컨테이너 기술을 활용해.. 2021. 2. 24.
월간기술동향 | 2021 주목해야할 테크 5가지 많은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코로나 팬데믹으로 큰 수혜를 봤습니다. 애플,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은 매출과 주가의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했고, 줌과 테슬라는 600~700% 주가 상승이라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실리콘밸리 많은 기업들에게 코로나 팬데믹은 ‘기회’였습니다. ‘기회’를 잡은 회사들은 오랫동안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준비하고 실행한 기업들인데요. 2021년 새해를 맞아 디지털 전환을 위해 주목해야 할 기술 5가지를 소개합니다. AI(인공지능) 스테디셀러 인공지능이 2021년엔 더욱 활약할 예정입니다. 팬데믹 기간에 수집된 어마어마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처리해야 할 주인공이 바로 AI이기 때문입니다. 가트너가 선정한 2021 전략 기술 중 하나인 ‘초 자동화(Hy.. 2021. 1. 27.
월간기술동향 | 자율주행 기술과 빅데이터, 클라우드 자율주행 기술이 초미의 관심사라는 것은 지난 2020 CES 행사만 봐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모빌리티’라는 주제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뿐만 아니라 국내외 ICT 기업들이 자율주행 기술과 미래 자동차에 탑재될 시스템 등을 선보였죠. 너나 할 것 없이 미래 자동차 기술 개발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얼라이드 마켓 리서치(AMR, Allied Market Research)는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이 2019년부터 연평균 39.47%씩 성장해 2026년에는 5,566억7000만 달러(약 615조 원) 규모로 커질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삼정KPMG에 따르면 국내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 규모는 2020년 약 1509억 원에서 2035년 약 26조1794억 원으로 연평균.. 2020. 12. 23.
엑셈 뉴스룸 | POWER UP! 엑셈 CloudMOA, GS인증 1등급 획득! 만질 수 없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은 어떻게 측정할까요? 바로 GS인증입니다. 엑셈의 클라우드 통합 관제 솔루션 'CloudMOA(클라우드모아)'가 지난 10월 19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GS(굿 소프트웨어)인증 1등급을 획득했습니다. GS(Good Software)인증이란? 국내 SW 완성도를 평가해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력+사용성+신뢰성 등을 갖춘 제품에 부여되는 인증 GS인증은 1등급과 2등급으로 나뉘는데요. 1등급은 2등급보다 높은 등급이며, 소프트웨어 제품 품질 시험 방법도 더욱 복잡합니다. 1등급은 기능 적합성, 성능 효율성, 호환성, 사용성, 보안성, 신뢰성, 유지보수, 이식성, 일반적 요구사항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우수한 기술력과 제품력을.. 2020. 11. 11.
월간기술동향 | 2021 10대 전략 기술 매년 4분기에는 많은 기관에서 다음 해 전망을 발표합니다.10월에는 가트너에서 '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를 발표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가트너에서 주목한 2021년 10대 전략 기술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가트너 보고서를 번역 및 요약 작성하였습니다. People centricity (사람 중심)코로나19로 인해 사람들의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바뀌었지만, 여전히 사람은 모든 비즈니스의 중심에 있습니다. Internet of Behavior(IoB, 행동 인터넷)IoB는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정기적으로 손을 씻고 있는지 확인하는 센서, 마스크 착용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고 마스크 미착용시 경고를 .. 2020. 10. 14.
월간기술동향 | 지구를 지키는 움직임 올해 코로나도 큰 문제이지만 기후변화 문제도 심각했습니다. 1973년 이래 가장 긴 장마와 잦은 태풍으로 큰 피해가 있었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환경 문제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제 친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었는데요. 작년에는 美《타임》의 ‘올해의 인물’에도 소녀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가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지구를 지키는 기업들의 움직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세 중 대세, 전기차 세계 각국이 내연기관차의 배기가스 배출을 규제하고, 친환경차 도입을 위한 각종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각종 보조금과 세금혜택을 통해 전기차 구매를 지원하고 있죠. 전기차는 차량 운행 중 오염물질 배출이 전혀 없습니다. 저공해차 통합 누리집에 따르면, 전기차 .. 2020.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