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엑셈 원 Pick | 8월의 exemONE 봄에 출시된 exemONE이 고객 환경과 신속하게 연결되고 있습니다.그 어느때보다 무더웠던 날씨만큼 exemONE을 중심으로 개발본부와 지원본부는 치열한 여름을 보냈고, 8월의 exemONE은 열정만큼이나 눈에 띄는 성과를 이뤄내고 있습니다.  어느 솔루션이나 고객분들이 요구하는 것은 비슷합니다. 도입이 용이하고,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설정이 간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최적의 툴을 찾는다는 것은 늘 어려운 일입니다. exemONE은 공식 출시 후 반 년이 채 되지 않아 여러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exemONE은 대부분의 경우, Java, Python, .NET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부터 여러 종류의 데이터베이스, 쿠버네티스, 카프카, 로그, 네트워크까지 많은 모니터링 제품을 하나의 모니터링 제품으.. 2024. 8. 29.
IT 현장과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의 활용 방향 : 일본편 OO 서비스에서 중요 인시던트(Incident)가 발생하여, 운영자 A씨는 서비스 영향 유무는 물론, exemONE을 통해 서비스와 관련된 IT 전 영역에 특이사항이 있는지 살펴봅니다. 과거 사례로부터 향후 서비스 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DB 전문가 B씨에게 에스컬레이션 하여 개선 검토 및 조치를 의뢰합니다. 정기 미팅에서 서비스 책임자 C씨와 관계자에게 해당 이슈를 공유합니다. DB 전문가 B씨는 이슈 발생 시각의 상세 데이터를 exemONE에서 확인하고 운영자 그룹에 분석 및 대응 결과를 회신합니다.  어떠신가요. 머지않아 exemONE이 불러올 일상의 변화가요?통합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여러 관점(링크)으로 소개한 데 이어, 이번 화에서는 일본 IT 산업의 특징과 현장의 실제 운영 사례 및 e.. 2024. 5. 30.
개발자 관점에서 본 통합 모니터링의 필요성 최근 시스템을 구성하는 아키텍처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가 널리 채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통합 모니터링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됩니다. 이 글에서는 개발자 관점에서 통합 모니터링이 디버깅을 어떻게 개선하고, 개발 일정을 단축하며, 최종 제품의 품질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소개합니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의 복잡성과 통합 모니터링의 역할MSA는 독립적으로 배포 가능한 여러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어, 각 서비스가 개별적으로 기능합니다. 이는 개발과 운영의 유연성을 높이지만, 동시에 모니터링의 복잡성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각 구간별 서비스와 연관 컴포넌트들의 성능과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통합 모니터링은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다음과 같은 .. 2024. 4. 25.
APM 관점에서 본 통합 모니터링의 필요성 앞서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의 필요성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링크) 이번 회차에서는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의 필요성을 APM(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 관점으로 다뤄보고자 합니다. On-Premise에서 Cloud로 전환On-Premise에서 클라우드(Public, Private, Hybrid, Multi)로의 전환은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방식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옵니다. 기존 On-Premise 방식에서는 물리서버에 수동적으로 배포 및 관리를 했다면,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되면서는 가상화된 인프라에 Container, Pod 형태로 배포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렇게 변화된 환경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적인 확장과 유연한 관리가 가능해졌고, 이들 환경에서 수행되는 애.. 2024. 3. 27.
DB 인사이드 | PostgreSQL Extension - PG_STAT_MONITOR 시작하며SQL 튜닝보다 중요한 작업은 튜닝대상을 식별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DBMS별로 제공되는 정보의 한계를 명확히 알아야 하며, 여기저기 산재해 있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온전한 결론에 도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자칫 부정확한 판단으로 애꿎은 SQL을 선택했다면, 이는 안 하느니만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그 중요성은 이루 다 말할 수 없습니다.PostgreSQL에서는 튜닝대상 선정을 위해 PG_STAT_STATEMENTS라는 Extension을 많이 사용합니다. 해당 Extension은 매우 범용적이지만 제공되는 정보에는 다소 아쉬운 부분들이 존재합니다.본 문서에서는 PG_STAT_STATEMENTS를 확장한 Percona의 PG_STAT_MONITOR Extension에 대해 알아보고, .. 2023. 9. 21.
이.빅.스 | 빅데이터 가치를 위한 데이터 시각화 안녕하세요. 이.빅.스 시리즈 어느덧 다섯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데이터 시각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빅데이터를 시각화하기 위한 여러가지의 방법들이 있습니다. 먼저, 데이터 유형에 따라서 차트를 선택하고 목적에 맞게 시각화를 해야합니다. 위 그림과 같이 앤드루 아벨라가 고안한 목적에 따른 차트 선택 방법에는, 비교를 위한 차트는 막대 차트와 선 차트를 사용하며, 전체 데이터 중 특정 항목이 차지하는 비중을 보기 위한 구성을 위한 차트는 파이 차트, 시간에 따른 변화의 유무는 세로 칼럼 차트와 가로 칼럼 차트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 지표는 엑셈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한 서울시 인공지능 기반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2단계)에서 데이터를 시각화한 화면입니다. 데이터 타입에 맞게 유형별로 시.. 2023. 7. 25.
고객사례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E2E 모니터링 환경 구축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를 함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로 전환 많은 기업들이 기존 온프레미스 환경의 단점을 극복하고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전환을 고려한다. 기존에는 클라우드 전환 시 데이터 중력, 보안, 다른 시스템과의 높은 상호 의존성 등의 문제로 전환 비율이 낮았지만, 점차 위와 같은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형태를 선택하는 기업들이 많아지고 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클라우드 구축 시 외부 인프라를 이용하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자체 인프라를 활용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또는 기업 내에 서버 설치·운영하는 ‘온프레미스’가 조합된 서버 이용 환경 하이브리드 환경은 온프레미스 레거시 인프라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클라우드로 이전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2022. 9. 28.
엑셈 인사이트 | 전구간 모니터링과 크로스셀링의 근간, 인터맥스 ‘인터맥스(InterMax)’, 크로스 셀링과 윈백으로 고객 확장 중 비즈니스 용어 중 '크로스 셀링(Cross Selling)'이란 표현이 있다. 말 그대로 교차 판매를 의미하며, 기존 고객에게 신규 제품을 판매하는 방식이다. 경쟁사 솔루션을 쓰던 고객에게 자사 솔루션으로 교체하도록 하는 ‘윈백(Win back)’ 판매 방식처럼, 적극적인 고객 확장을 위한 전략 중 하나이다. 엑셈의 E2E(End-to-End) 기반 거래추적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솔루션 ‘인터맥스(InterMax)’는 올해 거듭하여 윈백에 성공하는 동시에, 크로스 셀링으로 신규 고객사를 확보 중이다. 기존에도 E2E 전 구간 관리 솔루션으로 차별화된 기술을 제공하며 시장에서의 위상을 견고히 했던 인터맥스에게는, 올해 시장의 주목을 더.. 2021. 11. 24.
엑셈 뉴스룸 | POWER UP! 엑셈 CloudMOA, GS인증 1등급 획득! 만질 수 없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은 어떻게 측정할까요? 바로 GS인증입니다. 엑셈의 클라우드 통합 관제 솔루션 'CloudMOA(클라우드모아)'가 지난 10월 19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GS(굿 소프트웨어)인증 1등급을 획득했습니다. GS(Good Software)인증이란? 국내 SW 완성도를 평가해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력+사용성+신뢰성 등을 갖춘 제품에 부여되는 인증 GS인증은 1등급과 2등급으로 나뉘는데요. 1등급은 2등급보다 높은 등급이며, 소프트웨어 제품 품질 시험 방법도 더욱 복잡합니다. 1등급은 기능 적합성, 성능 효율성, 호환성, 사용성, 보안성, 신뢰성, 유지보수, 이식성, 일반적 요구사항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우수한 기술력과 제품력을.. 2020.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