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하오 2025, 감바루 exem! K팝, K드라마처럼, K소프트웨어도 해외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도록, 지금 이 순간에도 엑셈의 글로벌 법인은 해외 고객 시장 개척과 한국 기업의 기술 지원을 위해 정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현지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글로벌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해 시장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확장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고객 중심의 접근 방식을 채택했고, 서로 다른 시장 환경에서 직접 부딪히며 마주한 경험들이 뿌리내려 엑셈의 성장을 흔들림없이 지지하고 있습니다. 엑셈 CHINA 안녕하세요. 임중모입니다. 엑셈 중국 대표입니다. 오랜만에 NOW엑셈 독자분들께 인사드리고, 중국의 이모저모 소식을 전해드리기 위해 나왔습니다. 안녕하세요. 대표님. 쑤저우 워크샵이 있었다구.. 2025. 2. 26. 엑셈, 2분기 및 반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 달성 엑셈, 2분기 및 반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 달성연결 기준 반기 매출 YoY +5.5 %, APM 부문과 통합 모니터링 신제품 엑셈원 성과 돋보여 하반기 매출 집중에 따른 적극적 영업 강화 및 클라우드 시장 공략 가속화할 것 IT 통합 성능 관리 전문 기업 엑셈(대표 조종암, 고평석, 205100)이 13일 공시를 통해 연결 기준 2분기 매출 133억 2천만 원으로 역대 2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수치다. 1분기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던 것에 반해 2분기에는 영업이익 3억 2천만원, 당기순이익 7억 4천만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반기 매출은 224억 6천만 원으로 지난해의 역대 상반기 최고 실적을 1년만에 또 경신했다. 엑셈원 등 제품 및 A.. 2024. 8. 13. 엑셈 인사이트 | 맥스게이지, 확장과 도전 그리고 확신 시작하며, 엑셈의 모니터링 솔루션인 맥스게이지가 20년이 넘는 오랜 기간동안 꾸준히 시장의 사랑을 받고 그 가치를 인정받아온 데에는 수많은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 중 핵심은 완벽한 솔루션과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전사 구성원의 한결같은 노력이 아닐까 생각한다. 늘 고객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열린 마음과 겸허한 자세로 이를 제품에 투영하려는 자세. 즉 고객가치를 최우선으로 하는 엑셈의 문화야 말로 그간 우리의 원동력이었으며 동시에 앞날을 인도하는 변치 않는 비전이기도 하다. 얄궂게도 시장은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며 수시로 우리에게 도전을 선물하곤 한다. 자칫 현실에 안주할 수도 있지만 어제보다 발전할 오늘의 엑셈. 그리고 맥스게이지를 꿈꾸며 – 우리가 현재 준비중인 의미 있는 실험들에 대해 몇 .. 2022. 3. 30. 엑셈 인사이트 | 맥스게이지, 인접 툴과의 컬래버레이션 EXEM JAPAN과 '맥스게이지' 엑셈의 DBMS 성능관리 솔루션(DBPM) ‘맥스게이지(MaxGauge)’는 국내 DBPM 솔루션 시장에서 부동의 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다. 또한 ‘맥스게이지’의 활약은 국내 시장을 넘어, 엑셈의 일본 법인 ‘EXEM JAPAN’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EXEM JAPAN ‘맥스게이지’의 고객 사례 중 눈여겨볼 케이스들이 있다. ‘맥스게이지’, 인접 툴과의 컬래버레이션 먼저는 Fullcast라는 인재 채용 전문 기업의 케이스이다. Fullcast에선 ‘맥스게이지’와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소프트웨어 로봇이 시스템의 반복적 작업을 자동화하는 기술), Redmine(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웹 기반의 프로젝트 관리와 버그 추적 기능.. 2021. 10. 27. 엑기스 | Context Index의 이해와 활용방법 개요 보편적으로 오라클을 포함한 다양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B*Tree Index를 사용한 인덱싱 기법을 도입하여 사용했다. B*Tree Index는 일부 데이터 타입 (numbers, string, etc)에 대하여 다양한 접근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DBMS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Index가 되었다. B*Tree Index의 확장성 부족이라는 단점을 채우기 위하여 Function based Index, Reverse Index, 그리고 Bitmap Index와 같은 다양한 Index를 만들었지만, 사용자들의 요구를 완벽하게 만족시킬 수는 없었다. 이에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오라클은 8i version부터 사용자가 직접 인덱스의 타입을 생성하고 적용할 수 있는 Domain Index를 해결.. 2021. 6. 23. 엑셈 인사이트 | 공공 DBMS 시장의 클라우드 및 오픈소스 확산 시장 조사 기관 가트너는 2020년 11월 ‘Gartner Magic Quadrant for Cloud Database Management Systems’를 발표했다. 가트너는 DBMS 시장 부문에 ‘Cloud’를 추가하며, 2022년까지 전체 DBMS의 75%가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배포되거나 마이그레이션 될 것이라 가정했다. 이처럼 전 세계 DBMS 시장은 클라우드로 수렴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그 영향으로 국내 DBMS 시장 또한 민간, 공공 모두 전과 다른 속도로 클라우드로의 변화가 확산되고 있다. 올해 공공 DBMS 시장은 두 가지 큰 변화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바로 클라우드 기반과 오픈소스 기반으로의 변화이다. 먼저 공공 시장의 클라우드 DBMS로의 변화를 살펴보자. 공공 시장.. 2021. 5. 26. 엑셈 인사이트 |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MaxGauge 새해에도 대형 IT 차세대를 비롯한 디지털 뉴딜 관련 공공사업이 다수 예정돼 있다. 2020년 7월 정부의 디지털 뉴딜 발표 후, 뉴딜의 원자재인 데이터의 가치가 제고되면서 정형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한 전체 데이터 솔루션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 시장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는 가장 직접적인 요인은 데이터의 증가이다. 이러한 데이터 증가에 따른 빅데이터가 두드러지면서 데이터베이스 성능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데이터베이스 시장은 매년 CAGR 11.2%를 웃돌며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19 데이터산업현황조사’ 결과보고서) 또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시장의 성장 촉진 요인은 코로나 이후 바뀐 비대면 “언택트” 문화이다. 코로나 사태를 통해 그동안.. 2020. 12. 23. 엑셈 뉴스룸 | 9월엔 엑셈과 만나요! 어느덧 9월입니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여러분들과 만나는 기회가 적어 너무나도 아쉬웠는데요.다가올 9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드디어 여러분을 만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엑셈이 궁금하신 분들, 엑셈 솔루션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 분들은 바로 이 글을 주목해주세요! 2020 빛가람 에너지밸리 ICT&보안 온라인 컨퍼런스 매년 참가하고 있는 빛가람 에너지밸리 컨퍼런스는 코로나19로 인해 언택트(Untact, 비대면) 사회로 변해가면서, 온라인 연결인 온택트(Ontact)로 새로운 방식의 컨퍼런스가 펼쳐집니다. 9월 16일 수요일, 유튜브에서 만나실 수 있어요! 특별히 이번 온라인 컨퍼런스에서는 엑셈의 CloudMOA(클라우드모아), XAIOps(싸이옵스), 그리고 Flamingo(플라밍고)에 대해 자세.. 2020. 8. 10. 엑셈 인사이트 | RDBMS에 이어 NoSQL DB 모니터링도 '맥스게이지' 전 세계 데이터베이스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대다수의 기업들이 오라클과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RDBMS) 위주로 기업 시스템을 운영·관리해왔던 과거와 달리, IoT/스마트팩토리/빅데이터/AI(인공지능)/클라우드 전환 등의 혁신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이루어지는 현대에는 기업들이 폭증하는 데이터의 빠른 처리뿐 아니라, 데이터의 성향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최근 몇 년 사이 대규모의 데이터를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는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Non-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NoSQL DBMS)가 급격하게 성장하며 시장의 화두가 되었다.. 2020. 7. 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