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만든 제품에 마케팅 끼얹기 엑셈은 20여 년간의 성장 과정에서 조직 체계와 제품 포트폴리오가 자연스럽게 확장되었고, 이에 따른 복잡성도 증가했습니다. 그만큼 브랜드 정체성과 시각적인 이미지도 다양해졌고, 브랜딩을 위한 요소마다 확장 가능하게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브랜딩의 목적을 명확하게 하는 것에서 나아가, 조직과 서비스의 스케일업을 위한 실질적인 토대를 다지는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엑셈의 철학을 브랜딩에 정의하고, 다양한 브랜드 요소를 확보해 나가는 여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엑셈의 브랜딩과 철학을 찾는 과정: Core Value 엑셈의 일관된 브랜딩 정의를 위해 처음 시작한 일은 이해관계자 인터뷰입니다. 인터뷰는 경영진 뿐만 아니라 영업 그룹 리더와 서비스 기획자, 개발자 그리고 마케팅팀 실.. 2024. 12. 11. 엑쓸신잡 | 직장인을 위한 뉴스레터 추천(2) 직장인을 위한 뉴스레터 추천(1)에 이어서 2탄을 준비했습니다.각 뉴스레터 이미지를 누르면 구독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뉴스레터 소개 참고 및 이미지 출처 : 각 뉴스레터 홈페이지 일분톡(ilbuntok) 매주 월, 수 금요일 발행실리콘밸리의 IT 트렌드와 4차 산업혁명에 관련된 다양한 소식을 전해주는 뉴스레터.일상 속 IT를 쉽게 알려주는 뉴스레터를 원한다면 추천한다. 마부뉴스(마부작침 뉴스레터) 매주 화, 목요일 발행SBS 데이터저널리즘팀 '마부작침'이 발행하는 뉴스레터.'탐정사무소'를 콘셉트로 하여 한가지 이슈에 대한 심도깊은 내용을 보내준다. 캐릿 매주 화요일 발행MZ세대의 가치관과 트렌드를 낱낱이 파헤쳐 마케팅 인사이트를 제공해주는 뉴스레터. 당장 써먹을 수 있는 짤까지 만들어 제공해준다. 미.. 2020. 10. 5. 엑쓸신잡 | 직장인을 위한 뉴스레터 추천(1) 직장인을 위한 뉴스레터 추천 ※ 각 뉴스레터 로고를 클릭하면, 구독 페이지로 이동합니다.뉴스레터 소개 참고 : 각 뉴스레터 홈페이지 뉴닉 (시사)매주 월, 수, 금 아침 '우리가 시간이 없지, 세상이 안 궁금하냐!’ 밀레니얼을 위한 시사 뉴스레터. 시사 전반에 대한 소식을 전해준다. 귀여운 고슴도치 고슴이가 마스코트! 보다 (시사)매주 월, 수, 금 아침 짧지만 똑똑한 시사 뉴스레터. 시사 이슈를 정리해서 보내주기에 뉴닉과 비슷한 듯 하지만 조금 더 브리프하다. COFFEEPOT (비즈니스)매주 화, 금 아침 해외 비즈니스 뉴스를 쉽게 정리한 뉴스레터. 퀄리티가 매우 좋은데, 개인이 운영하는 뉴스레터라고! Weekly 똑똑 (시사, 경제)매주 금요일 오후 중앙일보의 팟캐스트 듣똑라(듣기만 해도 똑똑해지는.. 2020. 4. 3. 엑셈 사람들 | 경영기획본부 사업기획팀 회사에서 대내외 및 언론활동을 펼쳐 사업에 대한 우호적인 시장환경을 유도하고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사업의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기획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가 있습니다. 바로 사업기획팀입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면 조금은 어렵다고 느낄 수 있을 텐데요, 지금 바로 엑셈 사업기획팀의 역할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사업기획팀이란? 사업기획팀은 경영기획본부 소속으로, 4차 산업혁명과 데이터 경제라는 화두 속에서 회사의 전략과 3I/3X 관점에 따라 시장의 소리를 청취하고 신사업 기획을 진행하며, 엑셈의 지식과 콘텐츠를 전파하고, 대내·외 소통을 위한 PR과 마케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희 팀은 구성원 하나하나 독립적으로 장/단기 미션을 부여 받고, 각 구성원의 업무 결과와 성과가 전체에 공유됩.. 2019. 3. 7. 월간기술동향 | IT Trends 2019 지금은 바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이에 걸맞게 IT가 곳곳에서 많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은 말할 것도 없지요.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여러 기업에서 AI와 최신 기술들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2019년은 어떤 기술이 영향력을 행사할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5G 상용화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지난 12월 1일 5G 전파 송출을 시작했고, 2019년에 상용화 예정입니다. 기존 LTE와 비교했을 때 초저지연·초고속·초연결이 확보됨에 따라 제공될 예상 서비스들이 기대되는데요. 초저지연을 통해 자율주행차, 원격 의료 등 저지연이 매우 중요한 분야에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며, 초고속을 통해 AR·VR 등 초고용량 콘텐츠를 이동 중일때나 밀집 지역(ex.야구장) 등에서도 안정.. 2018. 12. 5. 이전 1 다음